본문 바로가기
Window

작업 관리자에서 CPU/RAM 과도 점유 문제 해결

by 인사이트세이프관리자 2025. 3. 31.
반응형

윈도우를 사용하다 보면 작업 관리자를 열었을 때 특정 프로세스가 CPU나 RAM 자원을 지나치게 많이 점유해 시스템 전체가 느려지거나, 멈추는 것처럼 보이는 문제를 겪게 된다. 이는 단순히 하나의 프로그램 문제일 수도 있고, 악성코드 감염이나 드라이버 충돌, 혹은 시스템 내부 프로세스의 오작동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과도 자원 점유 문제는 컴퓨터 성능 저하뿐만 아니라 업무나 게임, 인터넷 이용 등 일상적인 PC 사용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한다. 따라서 문제가 발생한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고, 올바른 조치로 자원 점유를 정상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아래에서는 작업 관리자에서 CPU/RAM 점유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졌을 때, 문제 발생 예시와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문제해결 및 오류해결

1) 불필요한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이 CPU, 메모리를 독식하는 경우

문제 발생 예시

  1. 브라우저(예: Chrome, Edge 등)를 사용하지 않는 상태인데도 CPU 사용률이 90% 이상 치솟는다.
  2. 초기 구동 시 ‘시작 프로그램’이 여러 개 등록되어 있어, 윈도우가 부팅되자마자 RAM 점유가 80%를 넘어선다.
  3.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목록을 보면 특정 이름(예: “someapp.exe” 등)이 CPU와 메모리를 지나치게 많이 사용 중이나, 어떤 프로그램인지 정확히 알 수 없다.

원인

  • 시작 프로그램이 과도하게 등록되어 있어, 로그인 직후부터 여러 앱이 동시에 실행되어 리소스를 많이 소모한다.
  • 특정 앱이 업데이트나 데이터 동기화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지속적으로 수행하는데, 설정 상에서 자동 실행을 제한하지 않아 CPU/메모리를 끊임없이 점유한다.
  • 불필요한 툴바나 확장 프로그램(브라우저 플러그인) 등이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하며 자원을 낭비한다.

해결책

  1. 시작 프로그램 관리
    1) 작업 관리자를 열고, “시작 프로그램” 탭(Windows 10 기준) 혹은 “시작 앱” 항목(Windows 11 기준)을 확인한다.
    2) 부팅 시 자동 실행할 필요가 없는 프로그램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 후 사용 안 함으로 설정한다.
    3) 재부팅 후 CPU/RAM 점유율 변화를 확인한다.
  2. 백그라운드 앱 제한
    1) 설정 → 개인 정보 및 보안 → 백그라운드 앱(버전에 따라 메뉴 명칭이 다를 수 있다) 항목에서 자주 사용하지 않는 앱에 대한 백그라운드 실행 허용을 중지한다.
    2) 클라우드 동기화 앱(예: OneDrive, Google 드라이브 등)이 과도한 자원을 사용한다면, 동기화 간격이나 범위를 조정한다.
  3. 불필요한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정리
    1) 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플러그인) 목록에서 사용하지 않는 기능을 제거한다.
    2) 브라우저를 최신 버전으로 유지하고, 캐시/쿠키를 주기적으로 정리해 로딩을 가볍게 만든다.

2)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에 의해 CPU/RAM이 고갈되는 경우

문제 발생 예시

  1. 작업 관리자에서 낯선 이름의 프로세스가 시스템 리소스를 90~100%씩 사용한다.
  2. 인터넷 광고 창이 갑자기 수시로 뜨거나, 알 수 없는 프로그램이 자주 설치된다는 알림이 뜬다.
  3. CPU 팬 소음이 커지면서, 휴대용 PC의 배터리가 평소보다 급격히 소모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원인

  • 악성코드(랜섬웨어, 스파이웨어, 크립토마이너 등)가 PC 내부에 설치되어, 백그라운드에서 임의의 연산을 수행하며 CPU나 GPU, 메모리를 착취한다.
  •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나 이메일 첨부파일을 통해 바이러스가 침투한 뒤, 사용자 모르게 시스템 리소스를 소모하는 일을 벌일 수 있다.
  • 업데이트가 안 된 백신 프로그램은 새로운 악성코드를 제대로 감지 못해 문제를 방치하게 된다.

해결책

  1. 신뢰할 만한 백신 프로그램으로 정밀 검사
    1) Windows Defender(윈도우 디펜더)를 최신 상태로 업데이트하고, 오프라인 검사 혹은 전체 검사를 진행한다.
    2) 서드파티 백신(예: Kaspersky, Bitdefender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한 뒤 정밀 검사를 수행한다.
    3) 만약 악성코드가 발견되면 격리 혹은 삭제 조치 후, 재부팅하여 점유율 변화를 다시 확인한다.
  2. 안전 모드에서 문제 프로세스 제거
    1) 악성코드가 일반 모드에서 쉽게 제거되지 않는다면, 안전 모드(Safe Mode)로 부팅한다.
    2) 안전 모드는 불필요한 드라이버나 서비스가 최소화되어 실행되므로, 악성코드의 방어 루틴이 작동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3) 이 상태에서 다시 백신 검사 또는 의심 파일 삭제를 시도한다.
  3. 시스템 복원 혹은 초기화 고려
    1) 악성코드로 인해 시스템 파일까지 심각하게 손상된 경우, 시스템 복원 기능을 사용하거나, 부팅 가능한 USB/DVD로 윈도우 복구를 진행한다.
    2)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해둔 뒤, 최후 수단으로 운영체제 초기화(Reset)를 고려한다.

3) 시스템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으로 자원을 사용하는 경우

문제 발생 예시

  1. ‘System’, ‘Service Host: Local System’, ‘Windows Modules Installer Worker’ 같은 시스템 프로세스가 CPU를 90% 이상 점유한다.
  2.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메시지가 뜨는데 작업 관리자에서 보면 주범이 ‘NT Kernel & System’ 등 윈도우 핵심 프로세스다.
  3. 하드디스크나 SSD가 쉴 새 없이 읽기/쓰기를 반복해 디스크 점유율까지 100%에 가까워진다.

원인

  • 윈도우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는 유지 작업(예: Windows Update 파일 검사, 인덱싱 작업)이 특정 시점에서 몰아서 수행되어 자원 점유가 급상승한다.
  • 시스템 파일이나 레지스트리가 손상되어, 서비스가 무한 루프 상태에 빠지거나 메모리 누수를 일으킬 수 있다.
  • 오래된 드라이버, 특히 스토리지(SSD/HDD) 드라이버나 네트워크 드라이버와 운영체제 사이에 충돌이 발생해 시스템 프로세스가 무리하게 CPU/RAM을 소비하는 경우도 있다.

해결책

  1. 일시 대기 후 재확인
    1) 일부 시스템 작업(Windows Update 설치, 검색 인덱싱 등)은 배경에서 자동으로 진행되므로 시간이 조금 지난 뒤 자동으로 점유율이 내려갈 수 있다.
    2) PC를 10~20분 정도 켜둔 상태로 두고, 재부팅 후 점유율 변화를 살핀다.
  2. 시스템 파일 검사(SFC)와 DISM 실행
    1) 관리자 권한으로 명령 프롬프트를 열고 sfc /scannow를 입력한다.
    2) 손상된 파일이 발견되면 자동 복구를 진행하고, 완료 후 재부팅한다.
    3) 이후 DISM /Online /Cleanup-Image /ScanHealth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명령어를 순서대로 실행해 윈도우 이미지 손상 여부를 점검 및 복구한다.
  3. 드라이버 업데이트
    1) 장치 관리자(제어판 → 장치 관리자)에서 중요한 하드웨어(스토리지, 그래픽카드, 네트워크, 사운드 등)의 드라이버가 제대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한다.
    2) 제조사 홈페이지나 Windows Update를 통해 드라이버를 최신 버전으로 갱신한다.
    3) 호환성 문제가 확실히 드러난 경우, 최신 버전 대신 특정 구버전 드라이버가 정상 동작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버전을 조정한다.

4) 메모리 누수(Leak) 발생으로 RAM 점유율이 계속 증가하는 경우

문제 발생 예시

  1. 특정 프로그램(예: 그래픽 편집 툴, 3D 모델링 소프트웨어 등) 사용 중 시간이 지날수록 메모리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상승해 결국 시스템이 멈춘다.
  2. 작업 관리자를 새로고침해 보면 해당 프로세스의 메모리 사용량이 계속 증가하며, 종료 전까지 줄어들지 않는다.
  3. 프로그램을 닫은 뒤에도 RAM이 즉시 회수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야만 정상화되거나 재부팅을 해야만 해소된다.

원인

  • 애플리케이션 자체의 메모리 관리가 부실해, 사용한 메모리를 해제하지 못하는 메모리 누수(Leak) 현상이 발생한다.
  • 특정 플러그인이나 확장 기능이 호환되지 않아, 소프트웨어가 종료되더라도 프로세스 일부가 배경에서 남아 메모리를 차지한다.
  • 버그가 있는 구버전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운영체제와 충돌나는 기능을 활성화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해결책

  1. 문제 애플리케이션 업데이트
    1) 문제가 발생하는 프로그램이 있다면 최신 패치가 적용되었는지 확인한다.
    2) 제작사 공식 홈페이지나 스토어를 통해 가장 최근 버전으로 업데이트한다.
  2. 프로그램 재설치 및 플러그인 정리
    1)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불필요하게 설치된 플러그인이나 확장 기능을 모두 비활성화 혹은 제거한다.
    2) 그래도 문제가 계속되면 한 번 완전히 제거 후, 재부팅 뒤 재설치한다.
  3. 임시 방편 - 강제 종료
    1) 아직 원인을 찾지 못했다면, 작업 관리자를 통해 일시적으로 문제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여 RAM 사용률을 회수한다.
    2) 단, 작업 중인 데이터가 손실될 수 있으므로 저장을 자주 하거나 백업 체계를 갖춰놓는다.

5) 특정 ‘svchost.exe’ 프로세스가 자원을 과도하게 차지하는 경우

문제 발생 예시

  1. 작업 관리자에서 여러 개의 ‘Service Host’ 또는 ‘svchost.exe’ 중 하나가 CPU 50% 이상을 계속 점유한다.
  2. RAM 또한 특정 svchost.exe 프로세스가 2~3GB 이상 차지하는 등 비정상적 수치를 나타낸다.
  3. 해당 프로세스를 종료하면 일시적으로 문제는 해결되지만, 시스템 기능 일부(Windows Update, 오디오 등)가 멈출 수도 있다.

원인

  • svchost.exe는 여러 서비스가 모여 실행되는 호스트 프로세스이므로, 특정 서비스가 내부적으로 오작동을 일으키면 전체 프로세스 점유율이 올라간다.
  • Windows Update, BITS, Superfetch 등의 서비스가 무한루프에 빠졌거나, 이전 업데이트 파일이 제대로 정리되지 않아 부하가 지속될 수 있다.
  • 바이러스나 트로이 목마가 svchost.exe에 숨어 있어, 악성 행위를 하는 경우도 있다.

해결책

  1. 문제 서비스 식별
    1) 작업 관리자에서 “세부 정보” 탭 혹은 “서비스” 탭을 통해, 높은 자원을 소비하는 svchost.exe가 어느 서비스를 가리키는지 확인한다.
    2) “서비스 관리(services.msc)”로 이동해 해당 서비스만 일시 중지하여 정상화 여부를 확인한다.
    3) 만약 Windows Update 관련이라면, SoftwareDistribution 폴더 초기화(Windows Update 캐시 제거) 등 추가 조치를 진행한다.
  2. 해당 서비스 재설정
    1) 문제가 되는 서비스가 식별되었다면, 명령 프롬프트(관리자 권한)에서 net stop [서비스명]을 입력해 강제로 중지한다.
    2) 불필요하거나 더 이상 사용하지 않는 서비스라면 “시작 유형”을 ‘사용 안 함’ 또는 ‘수동’으로 변경한다.
    3) 자주 쓰는 중요한 서비스라면, 오류가 계속될 시 윈도우 복구나 재설치도 고려한다.
  3. 악성코드 검사
    1) svchost.exe는 윈도우 핵심 프로세스이므로, 악성코드가 교묘히 위장하기 쉽다.
    2) 위 2) 과정을 통해 특정 서비스로 문제를 파악하지 못했다면, 바이러스 검사를 다시 시도해봐야 한다.

FAQ

아래는 작업 관리자에서 CPU/RAM이 과도하게 점유되는 문제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 다섯 가지이다.

Q1. CPU 점유율이 100%이지만, 프로세스 이름이 ‘System Idle Process’로 뜬다. 이건 무슨 의미인가?
A1. ‘System Idle Process’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한다는 의미는, 시스템이 실제로 아무것도 하지 않고 “유휴 상태”에 있음을 뜻한다. 즉, CPU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 상태이므로 문제가 아니다. 오히려 반대로 CPU의 여유가 많다는 신호다.

Q2. 오랜 시간 PC를 켜두면, 시간이 지날수록 메모리 사용량이 계속 증가한다. 일일이 찾아 종료해야 하나?
A2. 이는 특정 소프트웨어의 메모리 누수 문제 가능성이 높다. 우선 문제가 되는 앱을 파악해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재설치하는 것이 좋다. 꼭 필요한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사용을 중단하는 것도 방법이다.

Q3. 안전 모드에서 점유율이 정상으로 돌아왔다. 그렇다면 어떤 조치를 추가로 취해야 하나?
A3. 안전 모드에서 정상이라면, 평소 구동되는 서비스나 드라이버 중 하나가 원인임을 의미한다. 클린 부팅(msconfig에서 시작프로그램과 서비스를 최소화) 후 하나씩 다시 활성화하면서 문제가 되는 항목을 찾으면 된다.

Q4. svchost.exe를 마구잡이로 종료해도 괜찮은가?
A4. svchost.exe는 여러 윈도우 서비스가 묶여 실행되는 프로세스여서, 임의로 종료하면 인터넷 연결, 윈도우 업데이트, 오디오 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이 중단될 수 있다. 반드시 작업 관리자에서 “서비스” 탭을 통해 어떤 서비스가 문제인지 파악한 뒤, 개별적으로 중지하거나 서비스를 재설정하는 것이 안전하다.

Q5. 프로세스가 높은 자원을 사용해도 작업에 큰 지장이 없다면 굳이 해결하지 않아도 되나?
A5. 당장은 큰 문제가 없어 보여도, 특정 프로세스가 고사양을 계속 요구하면 발열 증가, 팬 소음, 전력 소비가 커진다. 노트북의 경우 배터리 수명이 짧아지고, 부품에도 부담이 갈 수 있다. 장기적인 시스템 안정을 위해 원인을 파악하고 정상화하는 것이 권장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