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환경안전212

방폭전기기란? 개념과 필요성 산업 현장에서는 가연성 가스, 분진, 증기 등 폭발 가능성을 지닌 물질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하는 전기기기가 폭발을 유발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 또는 설계를 방폭전기기(Explosion-Proof Electrical Equipment)라고 합니다. 본문에서는 방폭전기기의 기본 개념과 왜 필요한지에 대해, 관련 법규와 산업 현장 사례를 곁들여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및 KOSHA(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기준 등 다양한 제도를 통해 방폭전기기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 이해해 봅시다.많은 산업 현장, 특히 석유화학 플랜트, 가스 시설, 제약 공장, 분진이 많은 공장 등에서는 폭발 위험이 매우 높습니다. 폭발 사고는 인명·재산 피해뿐 아니라 환경에도 막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각 .. 2025. 3. 15.
산업안전 개념 총정리: 왜 모든 공장에 필수인가? 이 글에서는 제조업 현장에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산업안전 개념 전반을 다룹니다. 산업안전은 근로자의 건강과 생명 보호는 물론, 생산성을 높이고 기업의 신뢰도를 확보하는 데에도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최근 강화된 중대재해처벌법과 산업안전보건법 등으로 인해 공장과 사업장에서는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더욱 중요해졌습니다. 본 포스팅을 통해 산업안전의 필요성과 기본 개념, 주요 사고 사례, 관련 법규 및 실무 가이드를 폭넓게 살펴보겠습니다. 산업안전이라고 하면 흔히 ‘사고를 방지하는 것’ 정도로 생각하기 쉽지만, 그 범위는 사고 예방뿐만 아니라 잠재적인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개선하며, 근로자의 심리적·육체적 건강까지 고려하는 총체적 활동을 의미합니다. 중대한 산업재해가 발생하면 기업의 재산상 손실뿐 아.. 2025. 3. 15.
콘크리트 믹서 트럭 작업 중 끼임 사고 발생, 2024.11.01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4년 11월 1일(금) 09시 19분경사고 위치: 강원도 평창군 소재 풍력 발전단지 공사 현장사고 상황: 작업자가 콘크리트 믹서 트럭 하부에서 차량 정비 작업 중 차량이 움직이며 끼임으로 인해 사망.2. 사고 원인작업자가 차량 정비 중 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작업 안전 절차 준수가 미흡했던 것으로 추정.3. 예방 대책차량 하부 작업 전 반드시 차량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조치를 시행.정비 작업 전 작업 환경의 안전성을 점검하고, 차량 주차 브레이크 및 고정장치를 사용.정비 작업자를 대상으로 사전 안전 교육 및 작업 중 감독 강화.4. 용어의 이해콘크리트 믹서 트럭: 콘크리트를 이동하며 섞는 용도로 사용하는 대형 차량.끼임 사고:.. 2024. 12. 21.
철골 작업 중 추락 사고 발생 (2024.10.31)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4년 10월 31일(목) 15시 12분경사고 위치: 전북 익산시 소재 식품공사 증축 현장사고 상황: 철골 상부에 올라 작업 중 6.5m 아래 바닥으로 추락하여 사망.2. 사고 원인추락 방호망 설치 및 작업자 안전대 착용 미흡, 철골 구조물 작업 시 사고 예방 조치 부족.3. 예방 대책철골 구조물 위에서 작업 시 추락방호망을 설치.추락방호망 설치가 어려운 경우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후 작업.작업자 대상 고소 작업 안전 교육과 작업 환경 점검 강화.4. 용어의 이해철골: 강철로 된 구조물로, 건축물의 뼈대를 형성.추락방호망: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안전망. 2024. 12. 20.
철판 작업 중 발생한 끼임 사고 (2024.10.31)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4년 10월 31일(목) 16시 40분경사고 위치: 강원도 강릉시 소재 풍력 타워 해체 작업장사고 상황: 철판 절단 작업 중 철판이 넘어지며 작업자가 깔려 사망.2. 사고 원인철판 고정 상태 점검 미흡 및 해체 작업 시 중량물 이동 관리 부족.3. 예방 대책중량물 해체 작업 시 물체의 무게중심과 안정성을 충분히 고려.작업 계획서를 작성하여 작업 전 근로자에게 교육을 철저히 실시.중량물 이동 시 고정 및 이동 방법에 대한 감독 강화.4. 용어의 이해철판: 금속으로 만들어진 얇고 평평한 판재.중량물: 무게가 무거운 물체로, 이동 및 해체 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한 물체. 2024. 12. 19.
비계 해체 작업 중 발생한 추락 사고 (2024.10.29)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4년 10월 29일(화) 10시경사고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 OO아파트 지하주차장 지붕 교체공사 현장사고 상황: 비계 해체 작업 중 약 2m 아래 바닥으로 추락. 치료를 받던 중 11월 3일 사망.2. 사고 원인높은 작업 환경에서 추락 방지 장치(안전대) 착용 및 관리 감독 미흡. 작업 환경 내 위험 요소 제거 미비.3. 예방 대책높이 2m 이상의 추락 위험이 있는 작업장에서는 안전대를 반드시 착용하도록 관리.작업 전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점검하고 작업 환경을 정비.작업자 대상 안전 교육 및 현장 감독 강화.4. 용어의 이해비계: 공사 현장에서 높은 곳에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임시로 설치한 구조물.안전대: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몸을 고정시키는 장치. 2024. 12. 18.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추락 사고 (2024.10.25)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4년 10월 25일(금) 10시 43분경사고 위치: 경기도 수원시 소재 00근린생활시설 신축공사 현장사고 상황: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위해 4층 단부에서 거푸집을 확인하던 중 3.9m 아래로 떨어져 사망.2. 사고 원인작업자가 안전난간 등 추락 방지 장치 없이 단부에서 작업을 수행한 것으로 보임. 고소작업 시 안전 확보가 이루어지지 않음.3. 예방 대책단부 등 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작업 시 반드시 안전난간 설치.추락 방지용 안전대와 부착설비를 적절히 사용.작업자에 대한 고소작업 안전 교육과 사전 점검 강화.4. 용어의 이해거푸집: 콘크리트를 부어 원하는 모양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틀.안전대: 작업자가 추락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는 장치. 2024. 12. 17.
지게차 작업 중 발생한 중대재해 (2024.10.22)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4년 10월 22일(화) 07시 50분경사고 위치: 부산 동래구 소재 지하도로 공사 현장사고 상황: 지게차로 자재를 하역하던 중 자재가 떨어지며 작업자가 깔려 사망.2. 사고 원인지게차 작업 중 자재 고정 상태가 불안정했으며, 하역 작업 시 주변 작업자 통제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으로 보임.3. 예방 대책지게차로 작업 시 화물이 이탈하지 않도록 적재물 고정 상태 점검.하역 작업 중 작업 구역 내 안전 통제 및 접근 금지 조치.운전자 및 작업자에 대한 사전 안전 교육 강화.4. 용어의 이해지게차: 화물을 들어 올리거나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산업용 차량.하역: 물건을 싣고 내리는 작업 과정. 2024.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