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환경안전212

목포 건설회사 물탱크 하역 작업 중 사망 사고 (2023.10.28)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3년 10월 28일 (토) 13:35경사고 위치: 전남 목포시 소재 건설회사 공장사고 상황: 재해자가 화물차에 실려 있던 물탱크를 천장 크레인으로 하역하던 중, 슬링벨트가 끊어져 물탱크에 깔려 사망2. 사고 원인천장 크레인 하역 작업 중 슬링벨트의 결함으로 인해 발생한 사고로, 작업 중 안전 점검 미비가 주요 원인으로 보임.3. 예방 대책와이어로프, 슬링벨트 등 하역 장비의 사전 점검을 철저히 수행하여 이상 유무를 확인할 것하역 작업 중 화물의 하중을 받는 장비와 작업자의 위치를 철저히 관리하고, 작업 중에는 작업자 머리 위로 화물이 통과하지 않도록 할 것4. 용어의 이해천장 크레인: 공장 천장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기계 장비슬링벨트: 크레인 작업에서 물건을 들어.. 2024. 9. 30.
파주 스튜디오 천장 매쉬망 설치 중 추락 사고 (2023.10.28)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3년 10월 28일 (토) 14:08경사고 위치: 경기도 파주시 소재 스튜디오사고 상황: 무대 장치의 천장 매쉬망 설치 작업 중 작업자가 약 15m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2. 사고 원인높은 곳에서 작업 중 안전대 미착용 및 안전 설비 미비로 인해 추락한 사고.3. 예방 대책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는 반드시 안전난간, 울타리를 설치하고 작업을 진행할 것작업 공간이 협소하거나 난간 설치가 어려운 경우, 안전대 부착설비를 반드시 설치하고 안전대를 착용한 후 작업을 수행할 것4. 용어의 이해매쉬망: 철제나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그물망 형태의 구조물로, 주로 건축 및 무대 설치 시 사용안전대: 작업자가 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 추락 방지를 위해 착용하는 개인 보호 장비 2024. 9. 30.
부산 도서관 리모델링 동바리 설치 중 추락 사고 (2023.10.27)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3년 10월 27일 (금) 14:00경사고 위치: 부산시 북구 소재 도서관 리모델링 현장사고 상황: 동바리 설치 작업 중, 작업자가 동바리를 타고 지상으로 내려오던 중 약 7m 아래 바닥으로 추락해 사망2. 사고 원인안전대 미착용 상태에서 높은 곳에서 작업하던 중 추락하여 발생한 사고.3. 예방 대책근로자는 반드시 안전대를 착용하고 작업을 진행해야 하며, 승강 작업 시에는 수평 안전장치를 체결해야 함추락 방지용 승강용 트랙과 사다리를 설치하여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도록 조치할 것4. 용어의 이해동바리: 건축 공사에서 구조물의 일시적인 지지를 위해 사용하는 임시 기둥 또는 틀안전대: 작업자가 추락할 경우 안전을 보장하는 보호 장비 2024. 9. 30.
이천 콘크리트 제품 공장 고소작업대 충돌 추락 사고 (2023.10.26)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3년 10월 26일 (목) 14:09경사고 위치: 경기도 이천시 소재 콘크리트 제품 공장사고 상황: 재해자들이 고소작업대에 탑승하여 우수배관 연장 작업 중, 천장 크레인과 충돌하여 고소작업대가 전도되고 5.2m 아래로 추락해 1명 사망, 1명 부상2. 사고 원인고소작업대 사용 중 천장 크레인과의 충돌 및 전도 방지를 위한 안전 조치 미흡으로 인한 사고.3. 예방 대책고소작업대 작업 시 전도 방지를 위해 작업 구역 내 전도 위험 요소를 사전에 점검천장 크레인 사용 시 안전한 작업 방법을 적용하고, 작업 전 유도 담당자를 배치하여 안전 관리 강화4. 용어의 이해고소작업대: 높은 곳에서 작업자가 작업할 수 있도록 만든 이동식 플랫폼천장 크레인: 공장 내에서 중량물을 운반하기 위.. 2024. 9. 30.
남양주 오피스텔 실외기 해체 작업 중 추락 사고 (2023.10.25)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3년 10월 25일 (수) 11:00경사고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 오피스텔 이사짐 운반 과정사고 상황: 실외기 해체 작업 중 약 20m 아래로 추락하여 사망2. 사고 원인높은 곳에서 작업을 진행하던 중 안전 장비 미착용 및 작업 공간의 안전성 확인 부족으로 추락한 사고로 보임.3. 예방 대책높은 곳에서 작업할 때는 반드시 고소작업대를 활용하거나 안전장비를 철저히 착용할 것실외기 설치 장소의 안전성을 사전에 점검하고 작업을 진행할 것4. 용어의 이해실외기: 에어컨 등의 냉난방 장치에서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계 장치고소작업대: 높은 곳에서 작업을 안전하게 진행하기 위한 장치로, 작업자가 서서 작업할 수 있는 플랫폼 2024. 9. 30.
강원도 고성 테트라포트 인양 작업 중 끼임 사고 (2023.10.24)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3년 10월 24일 (화) 09:40경사고 위치: 강원도 고성군 소재 OO항 시설 정비 공사 현장사고 상황: 테트라포트 인양 작업 중 인근에서 작업 중이던 재해자가 끼여 치료 중 10월 27일 사망2. 사고 원인테트라포트와 같은 중량물 취급 작업 시 근로자의 위치와 안전 장치가 미비하여 발생한 끼임 사고.3. 예방 대책중량물 작업 시 근로자의 위치를 철저히 관리하고, 끼임 사고 방지를 위한 안전 계획 수립작업 계획서에 추락 및 끼임 사고 예방 방안을 포함하여 이를 철저히 준수4. 용어의 이해테트라포트: 해안 방파제 등에서 파도에 의한 침식 방지를 위해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인양 작업: 물체를 들어 올리는 작업으로, 중량물 처리 작업 중 하나 2024. 9. 30.
남양주 오피스텔 신축공사 헬기장 추락 사고 (2023.10.18)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3년 10월 18일 (수) 16:11경사고 위치: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 오피스텔 신축공사 현장사고 상황: 재해자가 헬기장 미장 작업 중 3.5m 아래로 추락하여, 치료 중 10월 25일 사망2. 사고 원인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 안전난간 및 안전대 부착 설비가 미비한 상태에서 작업을 하다가 추락한 것으로 보임.3. 예방 대책추락 위험이 있는 장소에는 반드시 안전난간 및 울타리를 설치하고 작업을 수행할 것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하고 안전대를 철저히 착용하여 추락 방지 대책을 강화할 것4. 용어의 이해미장 작업: 건축물의 바닥이나 벽면을 평평하게 고르게 하는 작업슬래브: 건축물의 수평 구조를 이루는 콘크리트 판 2024. 9. 30.
경북 구미시 철거공사 현장 슬래브 붕괴 사고 (2023.10.15) 1. 사고 개요사고 일시: 2023년 10월 15일 (일) 10:57경사고 위치: 경북 구미시 소재 창고 철거공사 현장사고 상황: 출입구 상부 슬래브 철거 작업 중 슬래브가 떨어져 작업자에게 낙하, 치료 중 11월 9일 사망2. 사고 원인슬래브 구조에 대한 사전 조사 및 붕괴 방지 조치 미흡으로 인해 슬래브가 예기치 않게 떨어짐.3. 예방 대책슬래브 구조와 시공 상태를 사전에 철저히 조사붕괴 방지를 위한 작업 계획서를 작성하고 이에 따라 작업 진행4. 용어의 이해슬래브: 건축물의 수평 구조를 이루는 콘크리트 판철거 작업: 기존 구조물을 해체하거나 제거하는 작업 2024. 9.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