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환경에서 많은 소프트웨어가 Microsoft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에 의존한다. 특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거나 게임을 구동할 때, “DLL 파일이 누락되었다”는 메시지가 뜨거나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다”와 같은 오류가 발생한다면, 대개 C++ 재배포 패키지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충돌로 인해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런 문제를 방치하면 프로그램 실행에 불편을 겪게 되고, 심한 경우 다른 소프트웨어와도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누락·충돌 시 나타나는 대표적인 오류 사례와 해결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한다.

문제해결 및 오류해결
1) DLL 누락 오류
- 문제 발생 예시
- *"어떤 프로그램을 실행했더니 ‘MSVCP140.dll을(를) 찾을 수 없어서 실행할 수 없다’는 메시지가 떴다."*
- *"‘VCRUNTIME140.dll이(가) 없어 프로그램을 시작할 수 없다’는 창이 반복해서 뜬다."*
- *"게임이나 3D 렌더링 프로그램 구동 시, ‘api-ms-win-crt-runtime-l1-1-0.dll이 누락되었다’고 나온다."*
- 원인
-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가 아예 설치되지 않았거나, 설치 버전이 너무 구버전이다.
- 윈도우 업데이트가 중단되어 ‘유니버설 CRT(Universal C Runtime)’ 부분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 여러 버전의 재배포 패키지가 뒤섞여 있어 파일 버전 충돌이 생겼거나, 특정 DLL만 손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해결책
-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설치
1) 마이크로소프트 공식 홈페이지(또는 MS 공식 다운로드 센터)에서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각 버전(예: 2010, 2012, 2013, 2015~2022 등)을 다운받는다.
2) x86, x64 버전을 모두 설치하는 것이 안전하다. (64비트 운영체제라도 32비트용 프로그램 실행에 x86 버전이 필요하기 때문) - 유니버설 CRT(Universal C Runtime) 확보
- ‘api-ms-win-crt-runtime-l1-1-0.dll’ 등의 오류가 뜨면, 윈도우 업데이트를 통해 “KB2999226” 같은 필수 업데이트가 깔려 있어야 한다. 수동으로 설치하거나, Windows Update를 최신 상태로 유지한다.
- SFC, DISM 명령으로 시스템 무결성 검사
- DLL이 누락된 것이 아니라 손상되었을 수도 있다.
- 관리자 권한 명령 프롬프트에서
sfc /scannow
실행 후, 재부팅한다. -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DISM /Online /Cleanup-image /RestoreHealth
명령으로 손상된 시스템 이미지를 복구한 뒤 다시 시도한다.
- 문제되는 프로그램 재설치
- C++ 재배포 패키지를 설치해도 계속 DLL 오류가 뜨면, 해당 프로그램 자체를 제거 후 재설치해 본다.
- 프로그램 설치 과정에서 자동으로 필요한 C++ 패키지를 설치하는 경우도 많다.
-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설치
2) Visual C++ 재배포 가능 패키지 충돌 오류
- 문제 발생 예시
- *"Visual C++ 2015를 설치하려고 했는데, 이미 설치되어 있다고 하면서 오류 코드 0x80070666이 발생한다."*
- *"‘0x80070661’ 오류와 함께 설치할 수 없는 아키텍처라는 메시지가 뜬다."*
- *"예전에 C++ 패키지를 여러 개 깔아뒀는데, 프로그램 실행 시 충돌로 인해 멈춤 현상이 발생한다."*
- 원인
- 재배포 패키지 설치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이미 설치된 버전과 새로 깔려는 버전이 상충한다.
- x64용과 x86용 버전을 뒤섞어서 설치하는 과정에서 레지스트리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 일부 프로그램이 특정 버전의 재배포 패키지에만 의존하는 경우, 해당 버전이 제대로 설치되지 않거나 업데이트로 다른 버전에 덮어씌워졌을 수 있다.
- 해결책
- 기존 C++ 재배포 패키지 제거
1)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또는 ‘앱 및 기능’)으로 들어간다.
2) 기존에 설치된 Visual C++ Redistributable 항목을 확인하고, 문제가 되는 버전(또는 중복 설치된 항목)을 찾아 제거한다. - 깨끗한 재설치
1) 재부팅 후, 최신 Visual C++ 패키지(특히 20152019 통합 버전 또는 20152022 통합 버전 등)를 다운로드한다.
2) 설치 시 x86, x64 버전을 모두 설치한다. - Visual C++ 별도 버전 확인
- 예를 들어, 2010/2012/2013 버전을 요구하는 구형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다. 그런 경우에는 해당 버전을 별도로 다운로드해 설치해야 한다.
- 최신 버전(2015~2022 통합)만 있다고 해서 예전 버전이 무조건 대체되는 것은 아니다.
- 레지스트리 정리
- 충돌이 심각하다면, C++ 패키지를 전부 제거한 뒤 PC를 재부팅하고, 레지스트리 클리너(예: CCleaner 등)를 이용해 잔여 값을 정리한 후 다시 설치한다.
- 기존 C++ 재배포 패키지 제거
3) 특정 프로그램 실행 시 Visual C++ 런타임 오류
- 문제 발생 예시
- *"게임 실행 시도할 때 ‘Runtime Error!’라는 팝업 창이 뜨며 종료된다."*
- *"C++ 런타임 오류가 발생하면서 ‘R6025 - pure virtual function call’ 메시지가 보인다."*
- *"다른 PC에서는 잘 돌아가는데, 내 PC만 C++ 런타임 크래시가 발생한다."*
- 원인
- 특정 프로그램이 C++ 함수 라이브러리 중 순수 가상 함수(Pure Virtual Function) 등을 잘못 호출하는 경우 발생한다.
- Visual C++ 재배포 패키지의 런타임 컴포넌트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손상되어 함수 호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 프로그램 자체의 버그로 인해, 최신 C++ 런타임과 호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 해결책
- 해당 프로그램 업데이트
- 프로그램 자체의 패치나 최신 버전이 존재한다면, 먼저 업데이트를 진행한다.
- C++ 런타임 재설치
- 위에서 언급한 방식대로 필요한 C++ 재배포 패키지를 제거 후 재설치해 런타임 컴포넌트를 새로 깔아준다.
- Windows 업데이트 확인
- 윈도우 자체의 업데이트가 누락되면 C 런타임 관련 시스템 파일이 오래된 버전일 수 있다. 설정 > 업데이트 및 보안에서 모든 권장 업데이트를 적용한다.
- 호환 모드 실행
- 구형 프로그램일 경우, 프로그램 아이콘(실행 파일) 오른쪽 클릭 > ‘속성’ > ‘호환성’ 탭에서 호환 모드를 ‘Windows 7’ 또는 ‘Windows 8’로 설정해 시도한다.
- 추가 라이브러리 확인
- DirectX, .NET Framework 등 다른 필수 구성 요소가 누락되어도 C++ 런타임 오류처럼 표시될 수 있다. DirectX End-User Runtimes, .NET Framework 4.8 등의 설치 상태를 확인한다.
- 해당 프로그램 업데이트
FAQ
Q1. x86, x64 용 재배포 패키지를 모두 설치해야 하나?
A1. 윈도우가 64비트라면, 당연히 x64 버전을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64비트 운영체제에서도 32비트(즉 x86) 프로그램들이 동작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x86용 재배포 패키지를 요구하므로, 두 버전을 모두 설치하는 편이 안전하다.
Q2. 여러 버전(예: 2013, 2015, 2017 등)의 Visual C++ 재배포 패키지를 깔아도 되나?
A2. 필요하다면 설치해도 문제없다. 구형 프로그램은 2013 이하 버전을 요구할 수 있고, 최근 프로그램은 2015~2022 통합 패키지를 필요로 한다. 각각 별도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므로, 충돌 방지를 위해 설치 순서는 보통 과거 버전 → 최신 버전 순으로 진행하면 좋다.
Q3. Visual Studio가 설치되어 있으면 재배포 패키지가 따로 없어도 되나?
A3. Visual Studio를 설치하면 개발 환경의 라이브러리가 일부 포함된다. 그러나 실제 응용 프로그램이 요구하는 재배포 가능 패키지는 별도로 존재한다. Visual Studio가 있다고 해서 모든 버전의 런타임이 자동으로 설치되는 것은 아니므로, 런타임 DLL 오류가 뜨면 재배포 패키지를 확인해야 한다.
Q4. DLL 파일만 인터넷에서 다운받아 system32 폴더에 넣으면 되지 않나?
A4. DLL만 임의로 다운로드해 덮어쓰는 것은 권장하지 않는다. 버전이 일치하지 않거나, 악성 DLL을 다운받을 위험도 있다. 공식 C++ 재배포 패키지를 통해 정식 설치하는 방법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하다.
Q5. ‘런타임 오류 R6025 - pure virtual function call’은 어떻게 해결하나?
A5. 프로그램 측에서 가상 함수를 잘못 호출해 발생하는 오류이므로, 일반적으로 C++ 재배포 패키지 업데이트와 함께 해당 프로그램이나 게임을 최신 버전으로 패치해야 한다.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개발사에서 제공하는 공식 패치나 핫픽스를 찾아 적용해야 한다.